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궁금증해우소
- 티스토리
- 대출
- 이생망
- 문과생_프로그래밍
- 소득세
- 로또 번호
- 신용 대출
- 광고 대행사 취업
- 로또 당첨
- 유니코딩
- 카카오 검색 광고
- 육아
- 아동수당
- 10만원
- lotto번호
- 클릭스 에이전시
- 그로스해킹
- 작심3일
- 혼공파
- 혼공단
- 복지ro
- 네이버 검색 광고
- 검색 광고 마케터
- 로또 당첨 번호
- 책으로_코딩을_배웠어요
- 책으로_코딩을배우고싶다
- 로도
- 퍼포먼스마케팅
- 다음 검색 광고
- Today
- Total
궁금증해우소
[실제 해 본 후기]Google Analytics GA 설치 with GTM - 그림삽입 본문
[실제 해 본 후기]Google Analytics GA 설치 with GTM - 그림삽입
궁금증해우소 2018. 7. 15. 22:48궁금증해우소의 디지털마케팅 1편: Google Analytics GA 설치 with GTM - 그림삽입
1. Google Analytics 쓴 경험은 많으시겠지만, 설치해 본 경험은 없으실 수 있습니다.
ㄴ 씁슬하게도 이 필드는 근속년수가 높지 않아서 이어 받아서 이용한 사람만 많음 ㅠㅠ
2. 그림삽입: google support center의 불편함을 타겟팅하여 제목 내 언급
ㄴ 지구 정복을 꿈꾸는 회사지만, 아무래도 Google 특성 상 GUI라기 보다는 Text로 푼 게 많습니다.
물론 Youtube에서 찾아볼 수도 있긴한데, 블로그는 검색해 본 분들을 잠재고객으로 두니 시장이 다르기도 하지요.
Google Korea 직원 분들이 Youtube에 올린 영상이나 기타 교육 센터에서 올린 영상도 많습니다.
그러나 Text로 확인하고자 하시는 분들께는 이 글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3. GTM? Google Tag Manager의 약자인데 들어만 보시고, 혹은 기본만 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사실 기존에는 이 정도까지 할 필요는 없었는데 GTM도 나오고
또 마케터 / agency => 퍼포먼스 마케팅 => 그로스 Growth Hacking까지 마케터의 성격이 조금씩 진화하게 된 것도 배경에 있습니다.
GTM 관련해서는 별도 시리즈물 연재 예정입니다.
각설하겠습니다.
<본론: 전체 절차>
A. GA
1) 계정 생성
2) Property ID 복사
B. GTM
1) GTM 계정 생성
2) GTM 추적 코드 삽입
3) 복사한 Property ID 를 붙혀넣어 GA 스크립트 태그 생성
4) 미리보기
5) 게시
A. GA
1) https://analytics.google.com 방문 후 계정 생성
계정 이름과 웹사이트 이름 삽입
100개 계정까지 추가할 순 있지만, 실제로 100개 까지 쓰는 경우는 없으니 그냥 편하게 쓰시면 됩니다.
추적 ID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가져오기를 눌러보겠습니다.
2) Property ID(추적 코드) 복사
네 추적 스크립트를 확인할 수 있고, 이것을 삽입하면 GA 서버에서 추가한 사이트의 트래픽을 추적합니다.
* 하지만, 똑같이 1번을 삽입한다면 GTM 스크립트를 삽입하는게 좋습니다.
현업에 계신 분들 중 개발조직과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1개 요청하는게 쉽지 않습니다.ㅠㅠ
이왕 요청하는 거 하나만 요청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GTM 스크립트를 삽입할 경우 각 환경에 맞게 추적코드를 활성화 할 수도 있습니다.
더 상세한 것을 본 포스팅에서 다 다룰수는 없으니 나중에 이 부분은 포스팅 후 링크를 연결 시키겠습니다.
*추적 코드에서 UA-XXXXXXXXX-1 로 되어있는 추적 ID(아래 스크린 샷 상단에서 확인 가능) 만 복사해서 메모장에 잘 붙혀두시면 됩니다.
B. GTM
1) http://tagmanager.google.com/ 방문 후 GTM 계정 생성
컨테이너 사용 위치는 웹으로 체크하시면 됩니다. App. Tracking은 OS에서 맞게 하시면 되는데,
이 포스팅은 Web기준으로 생성하였습니다.
App. Tracking은 추후 별도 포스팅 올릴 예정입니다.
2) GTM 추적 코드 삽입
* 티스토리에 직접 추가하신다면 아래처럼 HTML에 GTM 추적 코드를 가이드대로 삽입하시면 됩니다.
3) 복사한 Property ID 를 붙혀넣어 GA 스크립트 태그 생성
태그 탭 클릭 -> 새로 만들기
물론 추후 태그가 많아지고 관리 효율화를 위해 수정할 일이 생기니 처음부터 규칙이 있으면 더 좋습니다.
태그 유형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선택 - 기본 Google Analytics 유형 X
Google Analytics 설정, 즉 Property ID 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하는 행동은 쉽게 이야기하면 만들어진 태그를 받을 GA 계정을 설정하는 것 입니다.
아래 GA-Property ID는 새로 생성한 변수 입니다. 이 다음 화면에서 변수 생성 과정을 확인해주세요.
트리거는 All Pages 페이지뷰로 해 주시면 됩니다. 즉, 모든 페이지에서 띄우면 된다는 뜻 입니다.
해당 트리거는 기본 Bundle이어서 별도로 생성할 필요 없습니다.
변수만들기
추적 ID에 드디어 복사한 Property ID 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 후 해당 변수를 위의 Google Analytics 설정해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4) 미리보기, 5) 게시
게시 전 미리보기를 합니다.
사실 이 태그는 안해도 되긴 하는데요, 미리보기 한 후 심으려는 사이트 방문해서 잘 도는지 봅니다.
더 자세히는 GA에서 실시간으로 들어가서 확인하는 방법인데 그거는 별도 포스팅 발행 후 링크하겠습니다.
그 후 제출을 눌러주시고 GA로 돌아가면 아래처럼 활성 사용자가 보이면서 추적 스크립트가 도는 걸 확인 하실 수 있으십니다.
이렇게 하면 GTM 스크립트가 돌고 GA 추적도 할 수 있습니다.
GTM 참 활용도가 높은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DoubleClick Campaign Manager 캠페인 셋팅 중 필요한 GTM 작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