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그로스해킹
- 복지ro
- 문과생_프로그래밍
- 소득세
- 클릭스 에이전시
- 책으로_코딩을배우고싶다
- 작심3일
- 로또 번호
- 로또 당첨
- 이생망
- 신용 대출
- 로또 당첨 번호
- 육아
- lotto번호
- 티스토리
- 다음 검색 광고
- 로도
- 카카오 검색 광고
- 책으로_코딩을_배웠어요
- 혼공단
- 궁금증해우소
- 검색 광고 마케터
- 퍼포먼스마케팅
- 10만원
- 혼공파
- 네이버 검색 광고
- 대출
- 광고 대행사 취업
- 유니코딩
- 아동수당
- Today
- Total
궁금증해우소
[한삽더파보자] 충전재란 무엇인가? - feat. 롱패딩, 방한 파카, 다운패딩 본문
충전재를 알아보자
체온을 보호하는 일은 야외활동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업체들이 우수한 보온 충전재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도 이와 같은 논리입니다.
보온을 위한 충전재(insulation) 분야에서 구스다운을 능가하는 인공섬유는 아직 없습니다.
다운 VS 인공 충전재
이 떡밥은 해외의 많은 아웃도어 커뮤니티에서도 꾸준한 떡밥이었습니다.
모든 아웃도어 장비가 ㅡ 의류를 포함하여 ㅡ 그러듯이 이는 용도와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보온성과 압축크기, 무게 등에서는 다운이 우수하며, 습기와 관리, 가격면에서는 인공 충전재가 우수합니다.
다운과 인공 충전재 그래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무게와 패킹사이즈를 줄이고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라면 당연히 보온성이 우수한 다운이며, 습기 대응력이 추위 대응력보다 중요하며, 저렴한 제품을 원한다면 인공충전재가 적합합니다.
인공 충전재 종류
대표적으로 ‘캐시밀론(cashmilon)’ ㅡ 카시미론 ㅡ 이 있습니다.
캐시밀론은 일본에서 개발되었고 80년대까 침낭 충전재의 대명사였습니다.
원정대 급의 분들만 덕다운, 구스다운 침낭을 애용하였었습니다.
▲ 인공 충전재 특징
충전재는 중간에 공기층을 형성해야 보온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납니다.
단열 보온 효과를 높이며, 무게를 줄이고자 개발된 것이 바로 중공섬유, hollow fiber입니다.
이러한 중공섬유 기술을 바탕으로 각 회사의 독자적인 기술을 결합 및 브랜드화 한 것이
써믹 마이크로, 클리마쉴드, polar guard, 프리마로프트, 등입니다.
몇 가지 뽑아보자면 3M이 독자적으로 제조한 충전재의 이름이 ‘Thinsulate’입니다. 소재 분야의 대명사인 3M이 안 뛰어들 리 없습니다.
80년대 전에는 방한장갑이 대부분 순모로 이루어졌는데 1974년 3M의 ‘Thinsulate’ 가 등장하며
3M의 고오오급 방한장갑이 유행하였습니다. 방수도 보온도 잘되어 순모 보온 자켓을 대체한 후리스 자켓과 함께 동계 방한장갑의 필템으로 자리 매김했습니다.
※ INVISTA 사 PolarGuard
CORDURA가 대표상품인 INVISTA는 첨단 섬유 분야 선구자입니다.
이런 INVISTA 가 인공충전재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냈는데 그 대표가 PolarGuard입니다.
PolarGuard는 의류뿐 아니라 침낭까지 두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롱패딩을 알아보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롱패딩 비싼 돈 내고 사는데 꼭 따듯한 걸로 고르세요
#롱패딩, #충전재, #인공_충전재, #덕다운, #구스다운, #다운패딩, #롱패딩, #연아패딩, #평창패딩, #후리스, #보온, #겨울나기, #너무_춥다, #파카, #방한, #가성비